아이돌보미서비스 종류 및 비용
- 카테고리 없음
- 2017. 1. 29.
아이돌보미서비스 종류 및 비용
정부에서는 애기를 많이 낳으라고 권유하지만 아직은 여성을 위한 육아복지가 부족하고 둘이 살기도 팍팍한 생활 때문에 제 주위에도 딩크족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특히 맞벌이 부부는 애기를 키우기 위해 양가부모님의 도움을 많이 받아야 하는데 그것 마져 힘든 분들에게는 육아가 막막 할 수 있습니다.
이럴때 여성가족부에서 지원하는 아이돌보미서비스 종류 및 비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이돌봄 서비스는 아직 부모의 손길이 필요한 아동을 보호하고 돌봐주는 돌보미의 임금을 정부와 신청자가 나눠 부담하고 서비스를 받는 것을 말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포털사이트에서 간단한 검색으로 아이돌봄 서비스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한데요. 위의 이미지처럼 빨간색 네모칸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아이돌보미서비스 종류와 제공하는 업무에 대해 먼저 알아야 할텐데요. 시간제는 일반형으로 부모가 가정에 없는 시간 동안에 아이의 놀이활동과 식사를 도와주고 보육시설의 등.하원을 안전하게 봐주는 일을 해줍니다.
종합형은 시간제의 업무를 모두 하면서 추가적인 가사도움을 제공하는데요. 아이가 먹을 간식및 식사를 조리하고 그에따른 설거지를 하며 놀이공간 청소와 세탁을 진행해줍니다.
시간제는 정부가 지원하는 연 480시간 안에서 야간,공휴일 상관없이 원하는만큼, 필요한만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정부지원 시간을 초과한다면 100% 본인 부담금으로 이용해야 되니 참고해주세요.
소득기준에 따라 정부지원금이 달라지기 때문에 본인 부담금도 다릅니다. 또한 자녀의 출생년도에 따라서도 A형 또는 B형으로 달라지니 위에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종일제는 만3개월에서 만36개월 이하의 아동을 가정에서 1대1로 돌보는 것으로 영아종일제와 보육교사형으로 나눠집니다. 보육교사형은 자격증을 소지한 돌보미가 아이의 교육를 추가적으로 도와줍니다.
영아종일제는 월 120시간에서 200시간까지 사용가능하며 소득기준에 따라 본인부담금이 39만원에서 130만원까지 될 수 있습니다.
보육교사형은 부담금도 높은 편인데요. 종일제와 동일한 월 120~200시간을 제공하며 소득에 따라 52만원에서 143만원까지 부담 될 수 있습니다.
그 외 기관에서 신청할 경우 기관파견돌봄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사회복지시설, 학교, 유치원등의 시설에서 만12세까지의 아동을 돌보는 돌보미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질병감염아동특별지원은 유행성 질병으로 인해 보육시설을 이용하지 못하는 아동을 위해 가정에서 돌보고 보호하는 서비스입니다. 질병 완치까지 소득수준에 상관없이 비용 50%를 정부가 지원해 줍니다. 전염성 때문에 가벼운 감기에도 보육시설을 가지 못하고 가정에서 쉬어야 되는 아동의 부모님들은 직장에 눈치를 보며 연차나 월차를 사용 했을텐데 앞으로는 돌보미 지원을 받아 보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아이돌보미서비스 종류 및 비용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정부의 지원금이 있긴 하지만 개인 부담도 없지 않은만큼 본인가정에 맞는 종류를 확인하여 이용하시면 육아 스트레스도 줄이고 직장에 눈치도 덜 받을 수 있을 것 같네요.